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글·네이버 vs 챗GPT, 어떤 차이가 있을까? 검색엔진과 생성형 AI의 차이점 및 장단점 비교

by 디지털_OK 2025. 3. 19.

우리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을 때 흔히 네이버,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최근 생성형 AI인 챗GPT와 같은 기술이 등장하면서 정보 검색 방식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검색엔진과 생성형 AI는 어떤 차이점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은 무엇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기술의 원리와 차이점을 비교하고,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글·네이버 vs 챗GPT, 어떤 차이가 있을까? 검색엔진과 생성형 AI의 차이점 및 장단점 비교
구글·네이버 vs 챗GPT, 어떤 차이가 있을까? 검색엔진과 생성형 AI의 차이점 및 장단점 비교

 

검색엔진과 생성형 AI의 기본 개념

 

검색엔진(Search Engine)이란?

 

검색엔진은 인터넷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정보를 찾아주는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검색엔진은 웹 크롤러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를 정리하여 사용자가 검색할 때 빠르게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대표적인 검색엔진으로는 구글, 네이버, 빙(Bing) 등이 있습니다.

 

검색엔진의 작동 방식:

크롤링(Crawling): 웹사이트를 지속적으로 탐색하며 새로운 정보를 수집합니다.

색인(Indexing): 수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분류합니다.

검색(Querying): 사용자의 검색어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제공하며, 광고 및 검색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순위를 조정합니다.

 

생성형 AI(Generative AI)란?

 

생성형 AI는 기존 데이터를 학습하여 새로운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코드 등)를 생성하는 인공지능을 의미합니다. 챗GPT는 대표적인 생성형 AI로,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사람과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AI는 주로 자연어 처리(NLP), 이미지 생성, 음악 작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데,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는 컴퓨터가 사람의 언어, 즉 자연어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 사람이 쓰는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이에 따라 반응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생성형 AI의 작동 방식:

데이터 학습(Training):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학습합니다.

문맥 이해(Context Understanding): 입력된 질문을 분석하고 가장 적절한 답변을 생성합니다.

출력(Generation):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텍스트를 생성하며, 단순 검색이 아니라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답변을 제공합니다.

 

검색엔진과 생성형 AI의 주요 차이점 (검색 예시 포함)

 

구분             검색엔진 (네이버, 구글)                생성형 AI (챗GPT)

정보 제공 방식 기존 웹페이지에서 검색 결과 제공 자체 학습한 데이터로 새로운 답변 생성
실시간 정보 업데이트 실시간으로 웹사이트 정보를 크롤링하여 최신 정보 제공 학습된 데이터 기반으로 답변하며 최신 정보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
출처 명확성 웹사이트 링크 제공, 출처 명확 출처를 직접 명시하지 않고 종합적인 답변 제공
응답 형식 키워드 기반의 검색 결과 나열 대화형으로 자연스럽게 문장 구성
심층 분석 및 요약 검색 결과를 사용자가 직접 분석해야 함 여러 정보를 종합하여 요약된 답변 제공
광고 및 SEO 영향 상위 노출된 검색 결과가 광고나 SEO(검색 엔진 최적화)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있음 광고 영향을 받지 않고 답변을 생성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 검색어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정리해야 함 질문의 맥락을 이해하고 맞춤형 답변을 제공

 

검색엔진과 생성형 AI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검색엔진은 실시간 정보 검색과 출처 확인에 강점을 가지며, 챗GPT는 요약, 분석, 창의적 콘텐츠 생성에 강점을 가집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두 가지 도구를 적절히 활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검색엔진(네이버, 구글)과 생성형 AI(챗 GPT)를 이용하어 '강남 맛집'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강남 맛집' 검색 시, 검색엔진(네이버, 구글) 특징

검색 결과 상단에 광고 및 블로그, 리뷰 사이트가 나열됨

특정 맛집 목록, 이용자 리뷰, 별점 등이 포함된 웹사이트 링크 제공

사용자가 여러 사이트를 비교하여 원하는 정보를 직접 취사선택해야 함

 

'강남 맛집' 검색 시, 챗GPT 특징

"강남에서 인기 있는 맛집으로는 한식 맛집 A, 일식 맛집 B, 디저트 카페 C 등이 있습니다. A는 매운 갈비찜으로 유명하고, B는 신선한 사시미를 제공합니다. 친구들과 캐주얼한 분위기를 원한다면 C 카페를 추천합니다."

여러 출처의 정보를 종합하여 자연어 형태로 요약해 줌

구체적인 사용자 요구(예: '강남에서 조용한 분위기의 한식당')를 반영하여 맞춤형 추천 가능

 

또 다른 예로 '아이폰 15 리뷰'에 대해 검색엔진(네이버, 구글)과 생성형 AI(챗GPT)를 이용하여 검색해 보았습니다.

 

'아이폰 15 리뷰' 검색 시, 검색엔진(구글, 네이버) 특징

최신 뉴스 기사, 유튜브 리뷰 영상, 블로그 후기 등 다양한 출처 제공

여러 사용자 리뷰를 직접 비교 가능

광고 및 협찬 리뷰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

 

'아이폰 15 리뷰' 검색 시, 챗GPT 특징

"아이폰 15는 향상된 카메라 성능과 새로운 A16 칩셋을 탑재하여 더욱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들의 주요 피드백에 따르면, 배터리 수명은 만족스럽지만 가격이 다소 높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자세한 리뷰를 원하시면 공식 웹사이트나 유튜브 리뷰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자가 여러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도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 가능

최신 정보 업데이트가 느릴 수 있음

 

언제 검색엔진을, 언제 챗GPT를 사용하면 좋을까?

검색엔진이 더 적합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최신 뉴스, 실시간 정보(주식, 날씨, 스포츠 경기 결과 등)를 찾을 때

2) 공식적인 자료나 논문, 법률 문서 등의 출처가 중요한 경우

3) 특정 웹사이트의 내용을 직접 확인하고 싶을 때

 

챗GPT가 더 적합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정보가 너무 방대하여 핵심 요약이 필요한 경우

2) 창의적인 글쓰기,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코드 작성이 필요한 경우

3) 복잡한 개념을 쉽게 풀어서 설명받고 싶을 때

 

네이버,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과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검색엔진은 실시간 정보 검색과 출처 확인에 강점을 가지며, 챗GPT는 요약, 분석, 창의적 콘텐츠 생성에 강점을 가집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검색엔진과 생성형 AI를 적절히 활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검색 방식이 더욱 진화할 것이며, 두 기술이 어떻게 협력하여 발전할지 기대해볼 만합니다.